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역사 > 제주사일반

23950개의 내용이 있습니다.

번호 유형 제목 저자명 소장처 생산연도 조회
5482 고문헌 논(論), 책(策), 시(詩), 부(賦), 명(銘), 송(頌) 등 각 시제(試題)로 시취(試取)한 제주(濟州)의 유생(儒生) 중에서 수석을 차지한 사람과 81세로 입격(入格)한 사람에게는 전시(殿試)에 곧바로 응시할 자격을 주고 그 나머지의 입격한 유생에게는 시상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8년 (1794) 112
5481 고문헌 정의(旌義)의 고(故) 학생(學生) 오흥태(吳興泰)와 제주(濟州)의 고 효자(孝子) 박계곤(朴繼昆)에게는 정려(旌閭)의 은전을 특별히 시행하고, 박계곤의 손자 박중환(朴重煥)은 부장(部將)에 단부(單付)하고 천거한 인재 중 정의의 전(前) 좌랑(佐郞) 강성익(姜聖翊)은 병조 낭청에 감별하여 녹용(錄用)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8년 (1794) 113
5480 고문헌 시수(時囚) 이철운(李喆運)의 일은 대신의 의견대로 시행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8년 (1794) 116
5479 고문헌 제주(濟州) 3개 읍의 수령에 대해서는 앞으로 성적을 고과(考課)하여 출척(黜陟)을 특별히 행하고, 본도(本島) 사람 이형수(李亨秀) 등에 대해서는 해당 목사에게 실제 행적을 상세히 물어 수용(收用)하되 삼기(三歧)에 대해 등급을 나누어 논열(論列)하여 장계로 보고하게 하고 장계가 올라오거든 내게 물어 처리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8년 (1794) 149
5478 고문헌 시수(時囚) 이철운(李喆運)을 더 형문(刑問)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8년 (1794) 119
5477 고문헌 이경일(李敬一), 이정운(李貞運), 최수로(崔守魯)를 제주목(濟州牧)에 찬배(竄配)하고, 임제원(林濟遠), 유한녕(兪漢寧), 이유경(李儒慶)을 호서의 연해에 정배(定配)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8년 (1794) 126
5476 고문헌 제주(濟州)의 표류한 선박을 유의하여 수소문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8년 (1794) 119
5475 고문헌 강봉서(姜鳳瑞)를 인천부(仁川府)에 투비(投畀)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8년 (1794) 126
5474 고문헌 제주(濟州)의 곧바로 응시할 자격을 받은 사람 중에서 나이가 80이 넘은 사람이 내년 봄에 올라오는지 여부를 장계로 보고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8년 (1794) 123
5473 고문헌 제주 3개 읍의 맥환(麥還)은 분수(分數)하여 기한을 물려서 바치게 하고 강진(康津)과 해남(海南)의 곡물을 섬 안으로 이전하는 일에 대해서는 도신이 알맞게 헤아려서 떼어 주게 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8년 (1794) 136
5472 고문헌 성정각(誠正閣)에서 시원임 대신(時原任大臣), 시원임 각신(時原任閣臣), 약원 제조를 소견하되, 승지들은 공사(公事)를 가지고 같이 입시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8년 (1794) 154
5471 고문헌 이비(吏批)와 병비(兵批)가 올린 세초 단자(歲抄單子)에 점하(點下)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8년 (1794) 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