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연구센터, 제주학 아카이브
메뉴
제주학 아카이브 검색
닫기
제주학연구센터, 제주학 아카이브
검색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 아카이브
아카이브 분류체계
아카이브 통합검색
신규등록 DB
테마 아카이브
테마 아카이브
제주해녀문화 대백과사전
제주 갈옷
제주도 무형유산
센터사업
센터사업
비전
주요사업
연간일정
보도자료
연구성과
연구성과
제주학총서
제주역사자료총서
연구보고서
세미나 및 강좌 자료
언론보도
열린마당
열린마당
센터소식
공개채용
포토갤러리
제주학동향
제주학 연구자등록
센터소개
센터소개
인사말
연혁
조직 및 구성원
경영정보
찾아오시는 길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튜브
business
센터소식
inventory_2
제주학 아카이브
import_contacts
제주어사전 다운로드
scuba_diving
제주해녀문화 대백과사전
checkroom
제주갈옷 아카이브
diversity_1
제주특별자치도 무형유산 아카이브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home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 아카이브
센터사업
연구성과
열린마당
센터소개
사이트도우미
아카이브 분류체계
아카이브 통합검색
신규등록 DB
자료기탁 안내
오픈 아카이브
분야별
매체별
category
총류
psychology
철학
종교
사회과학
science
순수과학
precision_manufacturing
기술과학
palette
예술
translate
언어
auto_stories
문학
auto_stories
역사
전체
제주학
연보
학술조사
기타
전체
무속
불교
기타
전체
여성
문화
민속
사회
교육
행정·법
관광
경제
정치
기타
전체
동물
식물
환경
해양
지질
기타
전체
의·식·주
건축
농축업
수산업
의학
산업
기타
전체
음악
미술
기타
전체
제주어
기타
전체
구비문학
현대문학
기타
전체
고고
지리
제주사일반
사회
문화
4.3
인물
항일운동
기타
dns
제주학DB
translate
고문헌
public
해외문헌
map
고지도
photo
사진
play_circle
동영상
mic
음성
article
신문기사
history_edu
제주역사
전체
버섯
야생화
노루
곤충
새
목축
포구
해녀
무속
오름
지역사회
원담
성읍
문화재
역사기사
해녀음식
민속
전체
한라산
자연유산
제주인
해녀
문화상징
대한뉴스
민요
제주어
무속
제주사
기타
전체
구비전승
민요
생애사
제주어
기타
전체
제민일보
한라일보
제주신보
역사신문
제주대신문
전체
신증동국여지승람
고려사
조선왕조실록
비변사등록
승정원일기
일성록
역사 > 제주사일반
전체
제목
내용
저자명
소장처
연도
검색
총
23950
개의 내용이 있습니다.
번호
유형
제목
저자명
소장처
생산연도
조회
5506
고문헌
심낙수(沈樂洙)를 제주 안핵 어사(濟州按覈御史)로 차임하고, 이어 전 목사 이철운은 굶어 죽는 백성을 구제하지 않고 진휼 물자를 훔치고 농간질한 두 건의 일만 가지고 의금부로 하여금 잡아와 실정을 캐내게 하고 양지온(梁之蘊)은 어사에게 넘겨 철저하게 조사한 뒤에 처단하게 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7년 (1793)
조회 :
118
5505
고문헌
성정각(誠正閣)에서 대신(大臣), 각신(閣臣), 약원 제조 및 비변사 유사 당상, 제주 어사(濟州御史), 정의 현감(旌義縣監)을 소견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7년 (1793)
조회 :
138
5504
고문헌
성정각(誠正閣)에서 시원임 대신(時原任大臣), 시원임 각신(時原任閣臣), 약원 제조 및 정례 당상(定例堂上), 전 수원 부사(水原府使)를 소견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7년 (1793)
조회 :
144
5503
고문헌
승지 임제원(林濟遠)ㆍ김이성(金履成), 예조 판서 민종현(閔鍾顯), 병조 판서 정호인(鄭好仁), 비변사 당상 심이지(沈頤之)를 추고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7년 (1793)
조회 :
114
5502
고문헌
탐라(耽羅)에서 재실(災實)의 등급을 나눈 것과 요청한 여러 가지 조항은 장계의 내용대로 시행하고 기민(饑民)을 구제하는 방도는 어사가 내려간 뒤에 이치를 따져 장계로 보고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7년 (1793)
조회 :
113
5501
고문헌
제주 어사(濟州御史)가 가지고 갈 시재 규구(試才規矩)를 특별히 만들어 내렸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7년 (1793)
조회 :
110
5500
고문헌
성정각(誠正閣)에서 대신과 비변사 당상 및 어사 심낙수(沈樂洙)와 접위관(接慰官) 윤제동(尹悌東)을 소견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7년 (1793)
조회 :
161
5499
고문헌
장령 이진택(李鎭宅)이 전 장령 강봉서(姜鳳瑞)를 간삭(刊削)하기를 청한 데 대해, 비답을 내렸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7년 (1793)
조회 :
122
5498
고문헌
선전관 양협(梁埉)ㆍ심유조(沈有祖)ㆍ이인달(李仁達)은 병조 판서로 하여금 교관(郊館)에서 개좌(開坐)하여 크게 위의(威儀)를 베풀고 곤(棍) 30도(度)를 엄하게 쳐서 섬에 충군(充軍)하게 하고, 이동선(李東善)ㆍ이주봉(李周鳳)ㆍ김준악(金峻岳)ㆍ유상두(柳相斗)ㆍ허빈(許彬)ㆍ김진정(金鎭鼎)ㆍ원영린(元永麟)ㆍ전우성(田遇聖)은 모두 엄하게 곤을 쳐 태거(汰去)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7년 (1793)
조회 :
134
5497
고문헌
노인직을 받을 서울과 지방의 노인에게 노인직을 가자하는 것으로 하비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8년 (1794)
조회 :
95
5496
고문헌
순천 부사(順天府使) 홍술조(洪述祖), 인천 부사(仁川府使) 민백준(閔百準), 신천 군수(信川郡守) 이소(李素), 옥천 군수(沃川郡守) 정재운(丁載運), 지례 현감(知禮縣監) 이병순(李秉淳)은 모두 그 직명을 간삭(刊削)하고 그 지방에 나누어 정배하라고 명하였다. 조금 있다가 모두 간삭한 다음에 방축향외(放逐鄕外)하는 것으로 전지(傳旨)를 봉입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8년 (1794)
조회 :
95
5495
고문헌
한성부가 제주(濟州) 세 읍(邑)의 계축년(1793, 정조17) 백성의 수를 아뢰었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8년 (1794)
조회 :
102
first_page
chevron_left
1534
1535
1536
1537
1538
1539
1540
chevron_right
last_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