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역사 > 제주사일반

23950개의 내용이 있습니다.

번호 유형 제목 저자명 소장처 생산연도 조회
5530 고문헌 전라 감사 권엄(權)을 추고하고 이어서 경상 감사 정대용(鄭大容)을 신칙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7년 (1793) 122
5529 고문헌 제주목(濟州牧)이 올해 목장에 방목하고 있는 말의 실제 숫자를 올렸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7년 (1793) 116
5528 고문헌 전라 감사 권엄(權)을 추고하고, 이어서 해운 차사원(海運差使員)을 논감(論勘)하지 말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7년 (1793) 111
5527 고문헌 제주(濟州)의 공마(貢馬)를 올려보낼 때에 연로(沿路)의 고을을 침탈하여 소요를 일으키는 폐단에 대해서는 전라 감사가 제주 목사(濟州牧使)와 상의하여 좋은 쪽으로 바로잡고 정식으로 삼은 뒤에 장계로 보고하게 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7년 (1793) 116
5526 고문헌 제주 목사(濟州牧使) 이철운(李喆運)이 진휼곡을 분급한 상황과 모맥(麰麥 보리)의 농사 형편에 대해 급히 장계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7년 (1793) 120
5525 고문헌 전라 감사 권엄(權)이 제주(濟州)의 공마(貢馬)를 몰고 올라갈 사람에 대해 정식을 만들어 거행하는 일을 급히 장계로 보고한 데 대해, 묘당에서 초기로 회계(回啓)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7년 (1793) 122
5524 고문헌 전라 감사 권엄(權)을 엄하게 추고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7년 (1793) 111
5523 고문헌 함경도의 빈달마(牝㺚馬)의 무역을 금지한 조목을 제거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7년 (1793) 124
5522 고문헌 정사가 있었다. 이조 판서 서유방, 참판 이재학, 참의 이면응, 병조 판서 김문순이 나왔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7년 (1793) 118
5521 고문헌 부수찬 어용겸(魚用謙)이 상소한 데 대해 비답을 내리고, 상소의 내용이 도신(道臣)이 조사한 것과 상반되게 된 경위를 도신으로 하여금 조사하여 살펴 장계(狀啓)로 보고하게 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7년 (1793) 94
5520 고문헌 제주 목사(濟州牧使) 이철운(李喆運)이 세 고을의 진휼을 마친 상황 및 농사 형편에 대해 급히 장계로 보고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7년 (1793) 99
5519 고문헌 수원부(水原府)의 마병(馬兵)을 장별대(壯別隊)로 고쳐 부르고, 제주(濟州)의 별지정마(別卜定馬) 및 부근의 목장에 나아가 군마(軍馬)를 분급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7년 (1793) 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