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역사 > 제주사일반

23950개의 내용이 있습니다.

번호 유형 제목 저자명 소장처 생산연도 조회
5518 고문헌 시수(時囚) 성언집(成彦檝)과 홍채주(洪采疇)를 감처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7년 (1793) 102
5517 고문헌 전라 감사 권엄(權)을 엄하게 추고하고, 제향을 지내는 건물과 제기(祭器)를 수리하고 관리하는 곳들에 대해 무작위로 추출하여 적간한 다음 본보기로 엄히 다스리는 법을 시행하라고 유시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7년 (1793) 117
5516 고문헌 제주 목사 이철운(李喆運)은 추고하지 말고, 전 판관 이휘조(李徽祚)는 엄하게 추고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7년 (1793) 128
5515 고문헌 장용영이 수원의 무사들에게 마필(馬匹)을 나누어 주겠다고 아뢰었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7년 (1793) 113
5514 고문헌 제주 목사(濟州牧使) 이철운(李喆運)은 대죄(待罪)하지 말게 하고 풍운뇌우(風雲雷雨)의 이안제(移安祭)에 쓸 향축(香祝)을 급히 내려보내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7년 (1793) 103
5513 고문헌 전라 감사 이서구(李書九)가 제주(濟州) 대정현(大靜縣)에서 이전(移轉)해 오는 양태(凉臺 갓양태)와 감곽(甘藿 미역)을 실은 배 1척이 치패한 데 대해 급히 장계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7년 (1793) 160
5512 고문헌 영광 군수(靈光郡守) 김재익(金載翼)은 파직한 뒤에 잡아다 신문하고 전라 병사 이수붕(李壽鵬)은 잡아다 신문한 뒤에 처리하며 감사 이서구(李書九)는 추고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7년 (1793) 114
5511 고문헌 장령 강봉서가 상소한 데 대해 비답을 내리고, 이어 제주 목사(濟州牧使) 이철운(李喆運)의 죄를 조사하고 감처하는 방도는 유사 당상(有司堂上)이 대신(大臣)에게 나아가 의논한 뒤에 초기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7년 (1793) 120
5510 고문헌 묘당은 제주 안핵 어사(濟州按覈御史)에 합당한 인물을 초계(抄啓)하라고 명하고, 이어 제주 목사 이철운과 정의 현감 고한록의 자리를 비우고 후임을 차출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7년 (1793) 116
5509 고문헌 성정각(誠正閣)에서 약원 제조 및 비변사 유사 당상을 소견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7년 (1793) 139
5508 고문헌 이일증(李一曾)을 제주 목사(濟州牧使)로 삼았다. 비변사가 천망(薦望)한 것이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7년 (1793) 115
5507 고문헌 중희당(重熙堂)에서 약원 제조 서유방(徐有防), 비변사 유사 당상 정민시(鄭民始)ㆍ심이지(沈頤之)ㆍ윤행임(尹行任), 경기 감사 서용보(徐龍輔)를 소견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7년 (1793) 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