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역사 > 제주사일반

23950개의 내용이 있습니다.

번호 유형 제목 저자명 소장처 생산연도 조회
5854 고문헌 흥정당(興政堂)에 나아가 소결(疏決)을 행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원년 (1777) 119
5853 고문헌 전라 감사 이보행(李普行)을 추고하고, 제주 목사(濟州牧使) 황최언(黃最彦)은 월봉오등(越俸五等)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원년 (1777) 120
5852 고문헌 도목정사(都目政事)를 하비(下批)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원년 (1777) 142
5851 고문헌 수령(守令), 변장(邊將), 찰방(察訪), 초사인(初仕人), 복직(復職)한 사람들을 흥정당(興政堂)에서 소견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원년 (1777) 119
5850 고문헌 사복시(司僕寺)에 말을 관장하여 기르는 일을 신칙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원년 (1777) 122
5849 고문헌 전 군수 유광국(柳光國)을 가자(加資)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원년 (1777) 121
5848 고문헌 약원 부제조 홍국영(洪國榮)을 존현각에서 소견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원년 (1777) 119
5847 고문헌 제주목(濟州牧)에 정배(定配)한 죄인 홍찬해(洪纘海)를 대계(臺啓)에 따라 엄히 위리안치(圍籬安置)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원년 (1777) 116
5846 고문헌 을미년(1775, 영조51) 방목(榜目)에 든 사람이 폄좌(貶坐)에 불참하여 하고(下考)를 받은 것은 모두 논하지 말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원년 (1777) 121
5845 고문헌 성정각에서 내의원 부제조 홍국영과 승지 정민시(鄭民始)를 소견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원년 (1777) 137
5844 고문헌 성정각에서 승지 홍국영을 소견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원년 (1777) 132
5843 고문헌 죄인이 같은 고을에 겹쳐 정배된 경우에는 초기(草記)하여 옮겨 정배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원년 (1777) 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