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역사 > 제주사일반

23950개의 내용이 있습니다.

번호 유형 제목 저자명 소장처 생산연도 조회
5878 고문헌 문성국(文聖國)의 어미를 이번에 연좌하여 제주목(濟州牧)의 비(婢)로 삼도록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즉위 (1776) 137
5877 고문헌 의금부가 박상로 등에 연좌해야 할 사람들을 정배하고 적몰(籍沒)하고 저택(瀦澤)할 일로 아뢰었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즉위 (1776) 145
5876 고문헌 제주(濟州)의 봉명 선전관(奉命宣傳官) 권매(權邁)를 승륙(陞六)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즉위 (1776) 129
5875 고문헌 제주(濟州)의 감진 어사(監賑御史) 유강(柳焵)에게 가자하고, 목사 유혁(柳爀)에게 표리(表裏)를 상으로 내렸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즉위 (1776) 124
5874 고문헌 제주(濟州)의 백성들은 부역(赴役)한 뒤에 와서 대령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즉위 (1776) 126
5873 고문헌 제주목(濟州牧)의 물에 빠져 죽은 사람에게 휼전(恤典)을 지급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즉위 (1776) 125
5872 고문헌 제주(濟州)의 물에 빠져 죽은 사람에게 휼전(恤典)을 지급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즉위 (1776) 136
5871 고문헌 제주(濟州)의 부역(赴役)한 백성이 죽은 데 대해 돌보아 주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즉위 (1776) 123
5870 고문헌 사복시가 제주(濟州)의 선운(先運) 공마(貢馬)의 수를 아뢰었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즉위 (1776) 125
5869 고문헌 공마(貢馬)를 여러 신하들에게 반사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즉위 (1776) 126
5868 고문헌 사복시가 제주(濟州)의 후운(後運) 공마(貢馬)의 수를 아뢰었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즉위 (1776) 122
5867 고문헌 사복시 제조, 개건도감(改建都監) 당상, 국장도감(國葬都監) 당상과 낭청, 경기 감사, 호조 판서 및 총융사(摠戎使)를 흥정당(興政堂)에서 소견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즉위 (1776) 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