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 제주사일반
총 23950개의 내용이 있습니다.
번호 | 유형 | 제목 | 저자명 | 소장처 | 생산연도 | 조회 |
---|---|---|---|---|---|---|
5866 | 고문헌 | 승지를 보내어 원릉(元陵)에 나아가서 봉심(奉審)하고 오라고 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즉위 (1776) | 128 |
5865 | 고문헌 | 제주(濟州)의 자제들에게 찬품(饌品)을 내린 뒤에 베를 사급(賜給)하라고 명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즉위 (1776) | 123 |
5864 | 고문헌 | 중관(中官) 강덕엽(姜德燁)을 정의현(旌義縣)에 보내어 종으로 삼으라고 명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즉위 (1776) | 125 |
5863 | 고문헌 | 제주 어사 유강(柳焵)을 파직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즉위 (1776) | 131 |
5862 | 고문헌 | 제주(濟州)에서 중산마(中山馬)를 식년(式年)마다 봉진하도록 명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즉위 (1776) | 122 |
5861 | 고문헌 | 정사가 있었다. 이조 판서 이휘지(李徽之), 참판 심이지가 나왔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즉위 (1776) | 210 |
5860 | 고문헌 | 대사간 윤홍렬(尹弘烈)이 상소하여 스스로 인혐하고, 이어 홍지해(洪趾海) 등의 배소(配所)를 옮길 것을 청한 데 대해 비답을 내렸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원년 (1777) | 130 |
5859 | 고문헌 | 윤숙(尹塾)을 부교리로 삼았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원년 (1777) | 129 |
5858 | 고문헌 | 흥정당(興政堂)에 나아가 주강을 거행하고, 이어 제주 목사(濟州牧使) 황최언(黃㝡彦)과 각도의 경시관(京試官)을 소견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원년 (1777) | 126 |
5857 | 고문헌 | 죄인 홍지해(洪趾海) 등의 배소를 옮긴 곳에 가시울타리를 치라고 명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원년 (1777) | 132 |
5856 | 고문헌 | 흥정당(興政堂)에서 좌의정과 우의정을 소견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원년 (1777) | 128 |
5855 | 고문헌 | 제주목(濟州牧)의 물에 빠져 죽은 사람에 대해 휼전을 지급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원년 (1777) | 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