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역사 > 제주사일반

23950개의 내용이 있습니다.

번호 유형 제목 저자명 소장처 생산연도 조회
5998 고문헌 대정 현감(大靜縣監) 박재연(朴載淵) 등에 대한 논상(論賞)을 초기로 품처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8년 (1784) 103
5997 고문헌 비국이, 제주 목사(濟州牧使) 엄사만(嚴思晩)이 목장(牧場)의 말을 점고한 뒤에 포상(褒賞)을 청한 장계(狀啓)에 대해 복계(覆啓)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8년 (1784) 98
5996 고문헌 정사(政事)가 있었다. 이조 판서 이재간(李在簡), 참의 조정진(趙鼎鎭), 병조 참지 김노영(金魯永)이 나왔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8년 (1784) 90
5995 고문헌 경조(京兆)가 민수(民數)를 올렸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8년 (1784) 92
5994 고문헌 갑산부(甲山府)에 정배(定配)한 죄인 조운형(趙雲亨) 등에 대해 엄히 신칙하여 방수(防守)하게 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9년 (1785) 100
5993 고문헌 박재연(朴載淵)을 나문(拿問)하여 감률(勘律)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9년 (1785) 103
5992 고문헌 한성부(漢城府)가 민수(民數)를 올렸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9년 (1785) 94
5991 고문헌 정사가 있었다. 이조 판서 김노진(金魯鎭), 참판 이병모(李秉模)가 나왔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0년 (1786) 92
5990 고문헌 전 제주 목사(濟州牧使) 윤득규(尹得逵)와 전 대정 현감(大靜縣監) 박상춘(朴尙春)을 대명(待命)하기를 기다려 나수(拿囚)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0년 (1786) 94
5989 고문헌 탐라(耽羅)의 응자인(應資人)을 초계(抄啓)한 일에 대해 신칙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0년 (1786) 95
5988 고문헌 정사가 있었다. 이조 판서 이명식(李命植), 참의 이집두(李集斗)가 나왔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0년 (1786) 93
5987 고문헌 시수(時囚) 윤득규(尹得逵)를 풀어 주었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0년 (1786) 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