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역사 > 제주사일반

23950개의 내용이 있습니다.

번호 유형 제목 저자명 소장처 생산연도 조회
6058 고문헌 정의(旌義) 사람인 전 가주서 고명학(高鳴鶴)을 전적(典籍)으로 올려 부직(付職)하고 올려보내게 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1년 (1797) 116
6057 고문헌 도목 정사에 대해 하비(下批)하였으며, 경원 부사 한광식(韓光植)을 개차하고 가자(加資)한 것은 도로 거두어들이지 말며, 전 남원 부사(南原府使) 박지원(朴知源)과 전 전생서 판관 윤광호(尹光濩)는 모두 잉임하며, 잉임한 정의 현감(旌義縣監) 이동환(李東煥)의 후임을 가려 차출하며, 전주 영장(全州營將)을 차출하여 경주 영장(慶州營將) 백동운(白東運)과 서로 자리를 바꾸어 부임하게 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1년 (1797) 151
6056 고문헌 전라 감사 이득신(李得臣)이 제주에 표류해 온 청인(淸人)에 대해 문정(問情)한 것으로 급히 장계를 올렸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2년 (1798) 118
6055 고문헌 사복시가, 전 대정 현감(大靜縣監) 등이 체임(遞任)되면서 봉진(封進)한 말이 올라왔다고 아뢴 데 대해, 그중 좋은 말이 될 수 있는 말을 바친 봉진관(封進官)은 이름을 물어서 논상(論賞)하고, 군두(群頭)는 전례를 살펴 시상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2년 (1798) 112
6054 고문헌 전 대정 현감(大靜縣監) 고한록(高漢祿)은 복직(復職)시키고 승진시켜서 서용(敍用)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2년 (1798) 116
6053 고문헌 제주의 여러 해 체납된 환곡을 3분의 1만 거두고 노비는 신공미(身貢米) 1말을 탕감해 주고, 남정(男丁)은 대동미(大同米) 1되를 탕감해 주는 것을 모두 장계에서 청한 대로 시행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2년 (1798) 115
6052 고문헌 상께서 서연(書筵)을 정지하고 궁관을 추고하라고 명하셨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영조39년 (1763) 164
6051 고문헌 약방의 입진에 내가 시좌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영조42년 (1766) 152
6050 고문헌 한유(韓鍮)가 상소한 뒤에, 전좌(殿座)하셨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영조46년 (1770) 152
6049 고문헌 시원임 대신과 양사가 입시하였는데, 내가 시좌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영조47년 (1771) 138
6048 고문헌 상께서 창의궁에 나아가셨는데, 궁관을 보내 문안하게 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영조47년 (1771) 139
6047 고문헌 건명문(建明門)에서 전좌(殿座)하셨는데, 내가 시좌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영조47년 (1771) 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