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역사 > 제주사일반

23950개의 내용이 있습니다.

번호 유형 제목 저자명 소장처 생산연도 조회
6046 고문헌 양사가 합계하여 심상운(沈翔雲)을 국문하도록 청한 데 대해, 비답을 내렸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즉위년 (1776) 113
6045 고문헌 김수현을 대정현(大靜縣)에 노(奴)로 삼도록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즉위년 (1776) 119
6044 고문헌 제주(濟州)의 감진 어사(監賑御史) 유강(柳焵)에게 가자하고, 목사 유혁(柳爀)에게 표리(表裏)를 상으로 내렸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즉위년 (1776) 112
6043 고문헌 정사(政事)가 있었다. 이조 참판 서호수(徐浩修)가 나왔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즉위년 (1776) 117
6042 고문헌 약방의 입진을 재실(齋室)에서 행하고, 병조 판서 구선복(具善復)과 영변 부사(寧邊府使) 김익(金熤) 등을 소견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즉위년 (1776) 111
6041 고문헌 대사헌 김노진(金魯鎭), 장령 이겸빈(李謙彬)ㆍ어석령(魚錫齡)이 새 계문(啓聞)을 올려서 김수현(金壽賢) 등의 일을 논하였는데, 윤허하지 않았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즉위년 (1776) 121
6040 고문헌 제주목(濟州牧)의 물에 빠져 죽은 사람에 대해 휼전을 지급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원년 (1777) 143
6039 고문헌 의금부가, 홍계능을 대정현(大靜縣)에 압송하고 배소(配所)에 위리안치하였음을 아뢰었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원년 (1777) 120
6038 고문헌 홍이해(洪履海)의 처는 대정현(大靜縣)에 정배하고 어미는 정의현(旌義縣)에 정배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원년 (1777) 127
6037 고문헌 죄인이 같은 고을에 겹쳐 정배된 경우에는 초기(草記)하여 옮겨 정배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원년 (1777) 120
6036 고문헌 의금부가 죄인 홍대섭(洪大燮)은 대정현(大靜縣)에, 남흥로(南興老)는 정의현(旌義縣)에 절도 안치(絶島安置)하고, 조우(趙嵎)는 추자도(楸子島)에 참작하여 정배(定配)하겠다고 아뢰었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원년 (1777) 125
6035 고문헌 형조가 홍계능(洪啓能)의 처자와 종들을 따로따로 정배하고 한 곳에 여럿이 겹쳐 정배된 죄인을 이배(移配)하겠다고 아뢰었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원년 (1777) 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