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80 |
고문헌 |
성정각(誠正閣)에서 대신과 비변사 당상들을 소견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14년 (1790) |
64 |
979 |
고문헌 |
성정각(誠正閣)에서 약원(藥院)의 입진(入診)을 행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15년 (1791) |
58 |
978 |
고문헌 |
성정각(誠正閣)에서 약원 제조, 대신, 비변사 당상을 소견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16년 (1792) |
65 |
977 |
고문헌 |
성정각(誠正閣)에서 대신과 비변사 당상을 소견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17년 (1793) |
76 |
976 |
고문헌 |
전라 감사 이서구(李書九)가 제주(濟州) 대정현(大靜縣)에서 이전(移轉)해 오는 양태(凉臺 갓양태)와 감곽(甘藿 미역)을 실은 배 1척이 치패한 데 대해 급히 장계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17년 (1793) |
84 |
975 |
고문헌 |
성정각(誠正閣)에서 약원 제조 및 비변사 유사 당상을 소견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17년 (1793) |
69 |
974 |
고문헌 |
성정각(誠正閣)에서 대신(大臣), 각신(閣臣), 약원 제조 및 비변사 유사 당상, 제주 어사(濟州御史), 정의 현감(旌義縣監)을 소견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17년 (1793) |
73 |
973 |
고문헌 |
성정각(誠正閣)에서 시원임 대신(時原任大臣), 시원임 각신(時原任閣臣), 약원 제조 및 정례 당상(定例堂上), 전 수원 부사(水原府使)를 소견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17년 (1793) |
82 |
972 |
고문헌 |
성정각(誠正閣)에서 대신과 비변사 당상 및 어사 심낙수(沈樂洙)와 접위관(接慰官) 윤제동(尹悌東)을 소견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17년 (1793) |
85 |
971 |
고문헌 |
선전관 양협(梁埉)ㆍ심유조(沈有祖)ㆍ이인달(李仁達)은 병조 판서로 하여금 교관(郊館)에서 개좌(開坐)하여 크게 위의(威儀)를 베풀고 곤(棍) 30도(度)를 엄하게 쳐서 섬에 충군(充軍)하게 하고, 이동선(李東善)ㆍ이주봉(李周鳳)ㆍ김준악(金峻岳)ㆍ유상두(柳相斗)ㆍ허빈(許彬)ㆍ김진정(金鎭鼎)ㆍ원영린(元永麟)ㆍ전우성(田遇聖)은 모두 엄하게 곤을 쳐 태거(汰去)하라고 명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17년 (1793) |
72 |
970 |
고문헌 |
위유안핵순무시재 어사(慰諭按覈巡撫試才御史) 심낙수(沈樂洙)를 특별히 승진시켜 제주 목사(濟州牧使)로 삼았다. 그리고 여러 가지 폐막(弊瘼)은 편의에 따라 바로잡고, 창고를 설치하는 문제는 묘당에서 내게 물어 처리하게 하며, 제주도 유생(儒生)의 입격한 시권(試劵) 중 수석을 차지한 사람이 지은 것을 외각(外閣 교서관)에서 인쇄하여 보내게 하고, 무과(武科)에 응시한 사람 중 급제(及第) 자격을 준 사람과 문과(文科)에서 입격한 사람은 내년 봄에 올려보내 동시에 창방(唱榜)할 수 있도록 하며, 전(前) 목사(牧使) 이철운(李喆運)은 의금부로 잡아오거든 엄히 형추(刑推)하여 공초(供招)를 받은 뒤에 법에 따라 엄히 다스리고, 수령의 학대를 도와 백성을 못살게 군 장교와 아전은 곤장을 쳐서 엄히 다스리며, 양지온(梁之蘊)은 더욱더 엄히 처리하고, 구렁을 전전하다 죽어 간 사람이 가장 많은 곳에 고아와 과부를 모아 놓고 제단(祭壇)을 설치하여 제사를 지내며, 3개 읍(邑)의 기민(饑民)은 마음을 다해 구제하고, 안핵(按覈)에 대한 장본(狀本)은 시원임 대신(時原任大臣)에게 돌려가며 보여 주라고 명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18년 (1794) |
70 |
969 |
고문헌 |
제민창(濟民倉)을 강진(康津)이나 해남(海南)으로 옮겨 설치하는 것이 편리한지 여부를 도신이 상세히 탐문하여 보고하게 하고 보고가 올라오면 다시 내게 물어 처리하라고 명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18년 (1794) |
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