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역사 > 제주사일반

23950개의 내용이 있습니다.

번호 유형 제목 저자명 소장처 생산연도 조회
6154 고문헌 갑산부(甲山府)에 정배(定配)한 죄인 조운형(趙雲亨) 등에 대해 엄히 신칙하여 방수(防守)하게 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9년 (1785) 76
6153 고문헌 박재연(朴載淵)을 나문(拿問)하여 감률(勘律)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9년 (1785) 82
6152 고문헌 제주 판관(濟州判官) 김재욱(金再郁)은 준직(準職)에 제수하고, 정의 현감(旌義縣監) 이갑룡(李甲龍)은 4품직에 제수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9년 (1785) 93
6151 고문헌 한성부(漢城府)가 민수(民數)를 올렸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9년 (1785) 89
6150 고문헌 상언(上言) 152건을 각 해사(該司)에 판하(判下)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0년 (1786) 88
6149 고문헌 제주(濟州)의 물에 빠져 죽은 사람들의 처자식을 돌보아 주고 신역(身役)을 탕감해 주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0년 (1786) 88
6148 고문헌 정의현(旌義縣)의 침몰한 배에 실었던 이곽(移藿)을 탕감해 주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0년 (1786) 92
6147 고문헌 정사가 있었다. 이조 판서 이명식(李命植), 참의 이집두(李集斗)가 나왔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0년 (1786) 91
6146 고문헌 제주 목사(濟州牧使)가, 바람으로 인해 표류하였던 사람들이 본도(本島)로 돌아와 정박하였다는 것으로 치문(馳聞)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0년 (1786) 91
6145 고문헌 정의 현감(旌義縣監) 이갑룡(李甲龍)을 보리 수확 때까지 잉임(仍任)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0년 (1786) 96
6144 고문헌 성정각(誠正閣)에서 대신 및 비변사 당상과 윤대관(輪對官)을 소견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0년 (1786) 120
6143 고문헌 형조가 배소(配所)로 보낼 죄인들을 압송(押送)하겠다고 아뢰었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0년 (1786) 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