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연구센터, 제주학 아카이브
메뉴
제주학 아카이브 검색
닫기
제주학연구센터, 제주학 아카이브
검색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 아카이브
아카이브 분류체계
아카이브 통합검색
신규등록 DB
테마 아카이브
테마 아카이브
제주해녀문화 대백과사전
제주 갈옷
제주도 무형유산
센터사업
센터사업
비전
주요사업
연간일정
보도자료
연구성과
연구성과
제주학총서
제주역사자료총서
연구보고서
세미나 및 강좌 자료
언론보도
열린마당
열린마당
센터소식
공개채용
포토갤러리
제주학동향
제주학 연구자등록
센터소개
센터소개
인사말
연혁
조직 및 구성원
경영정보
찾아오시는 길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튜브
business
센터소식
inventory_2
제주학 아카이브
import_contacts
제주어사전 다운로드
scuba_diving
제주해녀문화 대백과사전
checkroom
제주갈옷 아카이브
diversity_1
제주특별자치도 무형유산 아카이브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home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 아카이브
센터사업
연구성과
열린마당
센터소개
사이트도우미
아카이브 분류체계
아카이브 통합검색
신규등록 DB
자료기탁 안내
오픈 아카이브
분야별
매체별
category
총류
psychology
철학
종교
사회과학
science
순수과학
precision_manufacturing
기술과학
palette
예술
translate
언어
auto_stories
문학
auto_stories
역사
전체
제주학
연보
학술조사
기타
전체
무속
불교
기타
전체
여성
문화
민속
사회
교육
행정·법
관광
경제
정치
기타
전체
동물
식물
환경
해양
지질
기타
전체
의·식·주
건축
농축업
수산업
의학
산업
기타
전체
음악
미술
기타
전체
제주어
기타
전체
구비문학
현대문학
기타
전체
고고
지리
제주사일반
사회
문화
4.3
인물
항일운동
기타
dns
제주학DB
translate
고문헌
public
해외문헌
map
고지도
photo
사진
play_circle
동영상
mic
음성
article
신문기사
history_edu
제주역사
전체
버섯
야생화
노루
곤충
새
목축
포구
해녀
무속
오름
지역사회
원담
성읍
문화재
역사기사
해녀음식
민속
전체
한라산
자연유산
제주인
해녀
문화상징
대한뉴스
민요
제주어
무속
제주사
기타
전체
구비전승
민요
생애사
제주어
기타
전체
제민일보
한라일보
제주신보
역사신문
제주대신문
전체
신증동국여지승람
고려사
조선왕조실록
비변사등록
승정원일기
일성록
역사 > 제주사일반
전체
제목
내용
저자명
소장처
연도
검색
총
23950
개의 내용이 있습니다.
번호
유형
제목
저자명
소장처
생산연도
조회
6226
고문헌
성정각(誠正閣)에서 대신 및 비변사 당상과 윤대관(輪對官)을 소견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0년 (1786)
조회 :
102
6225
고문헌
구선복의 지속(支屬)들을 노적(孥籍)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0년 (1786)
조회 :
79
6224
고문헌
명정문(明政門)에 나아가 조참(朝參)을 행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1년 (1787)
조회 :
78
6223
고문헌
형조가 격쟁인(擊錚人)들의 원정(原情)에 대해 아뢰었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2년 (1788)
조회 :
82
6222
고문헌
추자도(楸子島)의 도배 죄인(島配罪人) 유악주(兪岳柱)를 아산군(牙山郡)으로 양이(量移)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3년 (1789)
조회 :
81
6221
고문헌
경상 감사 홍억(洪檍)이 상소한 데 대해, 의례적인 비답을 내렸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3년 (1789)
조회 :
79
6220
고문헌
성정각(誠正閣)에서 대신과 비변사 당상 및 봉조하 조돈(趙暾)을 소견(召見)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3년 (1789)
조회 :
107
6219
고문헌
중희당(重熙堂)에서 홍문관 제학 홍양호(洪良浩), 경기 감사 김사목(金思穆), 광주 부윤(廣州府尹) 정대용(鄭大容)을 소견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4년 (1790)
조회 :
84
6218
고문헌
제도(諸道)의 도류 죄인(徒流罪人) 가운데 풀어 줄 부류와 풀어 주지 않을 부류를 보고한 계본(啓本)에 대해 회계(回啓)한 것을 판하(判下)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4년 (1790)
조회 :
95
6217
고문헌
대사면(大赦免)을 행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4년 (1790)
조회 :
86
6216
고문헌
양덕윤(梁德潤)에게 사실대로 공초를 받아 처결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5년 (1791)
조회 :
90
6215
고문헌
구성부(龜城府)에 정배한 죄인 정존중(鄭存中)은 그대로 그 지역에 안치(安置)하고, 절도(絕島)에 찬배(竄配)한 죄인 박규순(朴奎淳)은 배소(配所)를 서북도(西北道)로 옮겨 정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6년 (1792)
조회 :
88
first_page
chevron_left
1478
1479
1480
1481
1482
1483
1484
chevron_right
last_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