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역사 > 제주사일반

23950개의 내용이 있습니다.

번호 유형 제목 저자명 소장처 생산연도 조회
6274 고문헌 제주(濟州)에 곡물을 비축하는 문제는 목사를 엄히 신칙해서 즉시 사 놓은 뒤에 장계로 보고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2년 (1798) 72
6273 고문헌 평안도 관찰사는 현충사(顯忠祠)에 나아가 ‘만상의 의사 백대호 등 21인〔灣上義士白大豪等二十一人〕’이라고 위패(位牌)에 쓰고 봄과 가을에 제사를 지낼 때 돼지와 한 말의 술을 쓰는 것을 정식으로 삼으며 황명(皇明)의 유민(遺民) 임인관(林寅觀) 등 95인에 대해 모두 위패를 만들어 함께 제사를 지내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2년 (1798) 97
6272 고문헌 승지 이해우(李海愚)는 체차하고 승정원에 있던 승지들은 추고하였으며, 이어 탐라(耽羅) 사람들이 일제히 도착하거든 해당 방(房) 승지로 하여금 탐라로 돌아갈 때 먹을 식량을 궐 밖에서 나누어 준 다음 돌아와 아뢰게 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2년 (1798) 73
6271 고문헌 김상로의 아들 김치양(金致讓) 등을 안치하고 김치현(金致顯)은 처분을 기다리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즉위년 (1776) 87
6270 고문헌 형조가 이명휘를 영암(靈巖)의 추자도(楸子島)에 정배하기 위해 압송한다고 아뢰었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즉위년 (1776) 91
6269 고문헌 대사성 김익(金熤)의 상소에 대해 비답을 내렸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즉위년 (1776) 89
6268 고문헌 죄인 홍지해(洪趾海) 등의 배소를 옮긴 곳에 가시울타리를 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원년 (1777) 81
6267 고문헌 이양수(李養遂)를 추자도(楸子島)에 정배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원년 (1777) 81
6266 고문헌 형조가 응좌된 죄인들을 절도에 따로따로 정배한다고 아뢰었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원년 (1777) 89
6265 고문헌 성정각에서 승지 홍국영을 소견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원년 (1777) 110
6264 고문헌 의금부가 죄인 홍대섭(洪大燮)은 대정현(大靜縣)에, 남흥로(南興老)는 정의현(旌義縣)에 절도 안치(絶島安置)하고, 조우(趙嵎)는 추자도(楸子島)에 참작하여 정배(定配)하겠다고 아뢰었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원년 (1777) 82
6263 고문헌 형조가 죄인 윤태연(尹泰淵)의 죄에 응좌(應坐)된 사람들을 귀양 보내는 일로 아뢰었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원년 (1777) 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