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역사 > 제주사일반

23950개의 내용이 있습니다.

번호 유형 제목 저자명 소장처 생산연도 조회
6286 고문헌 편전(便殿)에서 시원임 대신들을 소견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0년 (1796) 97
6285 고문헌 양전(兩銓)의 여러 신하에게 칙유(飭諭)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0년 (1796) 95
6284 고문헌 한성부(漢城府)가 탐라(耽羅)의 호구(戶口)와 백성의 수를 조사한 별단을 바쳤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1년 (1797) 95
6283 고문헌 전 정언 변경우(邊景祐)가 청한 탐라(耽羅) 사창(社倉)의 일은 시행하지 말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1년 (1797) 101
6282 고문헌 제주 목사(濟州牧使)가 사복시에서 별도로 분정(分定)한 암말을 봉진(封進)한다고 급히 장계한 데 대해, 사복시 제조는 전관 목장(箭串牧場)에 특별히 신경을 써 살펴서 기어이 실효가 있게 하라고 하유(下諭)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1년 (1797) 103
6281 고문헌 바다를 표류한 탐라(耽羅) 사람인 전 충장장(忠壯將) 이방익(李邦翼)을 걸맞은 관직에 조용(調用)하라고 명하고, 이어 전라 감영의 중군과 자리를 바꾸어 주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1년 (1797) 124
6280 고문헌 죄인 강이천(姜彝天) 등이 정배(定配)된 곳의 각 해당 도신(道臣)과 지방관을 신칙하여 이들을 한편으로는 효유(曉諭)하고 한편으로는 엄히 단속해서 기필코 사람답게 만들도록 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1년 (1797) 102
6279 고문헌 진휼청이 탐라(耽羅)에서 공물로 진상한 과실을 가지고 온 사람과 표류한 사람 등에게 미두(米斗)를 나누어 주었다고 아뢰었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1년 (1797) 89
6278 고문헌 나리포(羅里舖)의 세곡(稅穀)에 관한 일은 다시 해당 도신이 충분히 상의하여 보고해 오거든 내게 물어 처리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2년 (1798) 91
6277 고문헌 대정 현감(大靜縣監) 홍삼필(洪三弼)은 하직 인사를 하지 말고 부임하게 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2년 (1798) 75
6276 고문헌 희정당(熙政堂)에서 차대(次對)를 행하고, 평안 감사 민종현(閔鍾顯)을 소견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2년 (1798) 75
6275 고문헌 희정당에서 차대를 행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2년 (1798) 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