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역사 > 제주사일반

23950개의 내용이 있습니다.

번호 유형 제목 저자명 소장처 생산연도 조회
5578 고문헌 전라 감사 윤시동(尹蓍東)이 흥양현(興陽縣)의 유구(琉球)에서 표류해 온 사람들을 발송하였다고 치문(馳聞)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4년 (1790) 125
5577 고문헌 서울과 지방의 중죄수를 심리(審理)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4년 (1790) 117
5576 고문헌 무과(武科) 초시에 입격한 제주인(濟州人)들을 직부전시(直赴殿試)하게 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4년 (1790) 120
5575 고문헌 제주 목사(濟州牧使) 이홍운(李鴻運)이 죄인 중에 풀어 줄 부류와 풀어 주지 않을 부류를 열거하여 치계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4년 (1790) 121
5574 고문헌 노인직(老人職)을 하비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4년 (1790) 121
5573 고문헌 제주목(濟州牧)이 가려서 봉진(封進)한 어승마(御乘馬)의 품질에 대해서 신칙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4년 (1790) 123
5572 고문헌 격쟁인(擊錚人)들의 원정(原情)에 대한 별단을 판하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4년 (1790) 123
5571 고문헌 비국이 관동 해호의 폐막에 대해 회계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4년 (1790) 124
5570 고문헌 제주 목사(濟州牧使)의 장본(狀本)을 묘당에 내려 이치를 따져서 내게 물어 처리하게 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5년 (1791) 115
5569 고문헌 좌의정 채제공이, 제주 목사(濟州牧使) 이홍운(李鴻運)이 장계에서 청한 것에 대해 복계(覆啓)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5년 (1791) 96
5568 고문헌 제주목(濟州牧)에서 봉진(封進)하는 말에 대해 신칙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5년 (1791) 96
5567 고문헌 제주(濟州)에서 올라와 무과(武科)에 입격한 자들에 대해 삼영(三營)의 초관(哨官)을 가설(加設)하여 계하받은 뒤에 차차로 거두어 녹용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5년 (1791) 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