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역사 > 제주사일반

23950개의 내용이 있습니다.

번호 유형 제목 저자명 소장처 생산연도 조회
5590 고문헌 대사간 홍병성(洪秉聖)이 상소한 데 대해, 비답을 내렸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4년 (1790) 103
5589 고문헌 이홍운(李鴻運)을 제주 목사(濟州牧使)로 삼았다. 비천(備薦)이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4년 (1790) 116
5588 고문헌 전(前) 제주 목사(濟州牧使) 이철모(李喆模)가 분진(分賑)한 상황에 대해 치계(馳啓)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4년 (1790) 109
5587 고문헌 대사간 심환지(沈煥之)에게는 견삭(譴削)하는 법을 시행하고 장령 황장(黃樟)에게는 간삭(刊削)하는 법을 시행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4년 (1790) 121
5586 고문헌 대사면(大赦免)을 행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4년 (1790) 110
5585 고문헌 대궐에 입직한 제신(諸臣)과 이례(吏隸), 군졸(軍卒)에게 차등 있게 시상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4년 (1790) 118
5584 고문헌 희정당(熙政堂)에 나아가 도목 정사를 행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4년 (1790) 116
5583 고문헌 제주마(濟州馬)의 봉진(封進)에 대해 신칙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4년 (1790) 116
5582 고문헌 제주 목사(濟州牧使) 이철모(李喆模)가 유구국(琉球國)에서 표류해 온 사람들을 문정(問情)한 것에 대해 치계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4년 (1790) 130
5581 고문헌 전라 좌수사 이건수(李健秀)가 유구(琉球)에서 표류해 온 사람들을 다시 문정(問情)한 것에 대해 치계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4년 (1790) 122
5580 고문헌 유구(琉球)에서 표류해 온 사람을 도신(道臣)의 장계대로 돌려보내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4년 (1790) 117
5579 고문헌 유구(琉球)에서 표류해 온 사람들의 발송을 도신의 장계대로 시행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4년 (1790) 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