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역사 > 제주사일반

23950개의 내용이 있습니다.

번호 유형 제목 저자명 소장처 생산연도 조회
5770 고문헌 성정각(誠正閣)에서 차대(次對)를 행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5년 (1781) 148
5769 고문헌 성정각(誠正閣)에서 차대(次對)를 행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5년 (1781) 143
5768 고문헌 정사가 있었다. 이조 판서 정민시(鄭民始), 참판 김문순(金文淳), 참의 심염조(沈念祖)가 나왔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5년 (1781) 119
5767 고문헌 성정각(誠正閣)에서 차대(次對)를 행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5년 (1781) 140
5766 고문헌 제주 어사(濟州御史) 박천형(朴天衡)은 설을 쇠기 전에 복명(復命)할 것인지의 여부를 장문(狀聞)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5년 (1781) 120
5765 고문헌 제주 어사(濟州御史)의 별단(別單)을 묘당에 내려 복주(覆奏)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6년 (1782) 124
5764 고문헌 성정각에서 제주(濟州) 도과(道科)의 과차(科次)를 행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6년 (1782) 147
5763 고문헌 영의정 서명선(徐命善)이 제주 어사(濟州御史) 박천형(朴天衡)의 별단(別單)에 대해 복주(覆奏)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6년 (1782) 118
5762 고문헌 양경천(梁擎天)을 원지(遠地)에 정배(定配)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6년 (1782) 122
5761 고문헌 잘못 정배(定配)한 부류를 상세히 조사하여 초기(草記)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6년 (1782) 97
5760 고문헌 시수(時囚) 황인채(黃麟采)는 정배(定配)하고, 이헌락(李憲洛)은 의처(議處)하고, 여귀주(呂龜周)는 지만(遲晩)을 받아 내어 보고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6년 (1782) 96
5759 고문헌 성정각(誠正閣)에서 승지 기언정(奇彦鼎)과 전 제주 목사(濟州牧使) 이양정(李養鼎)을 소견(召見)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6년 (1782) 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