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역사 > 제주사일반

23950개의 내용이 있습니다.

번호 유형 제목 저자명 소장처 생산연도 조회
5386 고문헌 제주 목사(濟州牧使) 유사모(柳師模)가 진휼을 마친 것에 대해 급히 장계한 데 대해, 녹봉을 덜어 진휼에 보탠 수령과 원납(願納)한 섬사람들에게 차등 있게 시상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0년 (1796) 114
5385 고문헌 형조 참의 심낙수(沈樂洙)가 상소한 데 대해 비답을 내렸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0년 (1796) 112
5384 고문헌 제주도의 빈마(牝馬)를 함부로 반출하는 일을 금지하도록 신칙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0년 (1796) 121
5383 고문헌 사복시가 제주(濟州)에서 올라온 각종 공마(貢馬)에 대한 별단(別單)을 아뢰었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0년 (1796) 111
5382 고문헌 제주(濟州)의 표류민이 지나는 고을에 엄히 신칙하여 그들에게 옷과 양식을 넉넉히 지급하고 각각 쇄마(刷馬)에 태워 원적관(原籍官)에 넘겨주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0년 (1796) 120
5381 고문헌 《어정규장전운(御定奎章全韻)》을 중외(中外)에 나누어 주고 공사(公私) 간의 압운(押韻)은 이 운서(韻書)의 의례(義例)에 따르도록 명하고, 이어 어휘(御諱)와 발음이 같은 글자가 중간에 오는 것까지 아울러 휘(諱)하는 습관을 금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0년 (1796) 122
5380 고문헌 성정각(誠正閣)에서 비변사의 품사 당상(稟事堂上) 이주국(李柱國)ㆍ심이지(沈頤之)ㆍ윤사국(尹師國)ㆍ김재찬(金載瓚)ㆍ이시수(李時秀)ㆍ심환지(沈煥之)ㆍ조진관(趙鎭寬)ㆍ이면응(李冕膺)을 소견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0년 (1796) 141
5379 고문헌 수원 유수(水原留守) 조심태(趙心泰)가 성역(城役)을 감동(監董)한 사람과 장인(匠人)ㆍ모군(募軍) 등에게 술과 떡을 나누어 주었다고 급히 장계한 데 대해, 대호궤(大犒饋)는 이달 22일에 거행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0년 (1796) 123
5378 고문헌 고 통정대부(通政大夫) 윤형갑(尹衡甲)에게 시호를 내리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0년 (1796) 155
5377 고문헌 조경묘(肇慶廟)에 천신(薦新)할 유자(柚子)는 제주(濟州)에서 공물(貢物)로 바치는 과일이 도착하거든 먼저 천헌(薦獻)한 뒤에 장계로 아뢰도록 전라 감사에게 회유(回諭)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0년 (1796) 121
5376 고문헌 제주(濟州)의 기녀(妓女) 만덕(萬德)을 내의원의 차비 대령(差備待令)인 행수 의녀(行首醫女)로 충원하고 금강산을 구경하고 나서 되돌아갈 때 연로(沿路)에 분부하여 양식과 경비를 넉넉히 주게 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0년 (1796) 129
5375 고문헌 초계 문신에게 친시(親試)의 갱시(更試)를 보이고 그 시권을 채점하여 내렸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0년 (1796) 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