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전체

6900개의 내용이 있습니다.

번호 유형 제목 저자명 소장처 생산연도 조회
3000 고문헌 함흥과 영흥의 입격(入格)한 유생과 무사에게 차등 있게 시상하고, 내각은 《풍패빈흥록(豐沛賓興錄)》을 간행하여 반포(頒布)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9년 (1795) 97
2999 고문헌 내탕전(內帑錢) 1만 민(緡)을 탐라(耽羅)에 별도로 내려 주어 진휼의 재원으로 삼게 하고, 이어 도신과 수신(守臣) 및 연읍(沿邑)의 수령을 신칙하여 해산물의 이익으로 무역하는 일을 착심(着心)하여 권장하게 하고 빈마(牝馬)를 육지에 헐값으로 내다 파는 일에 대해서도 제주 목사(濟州牧使)로 하여금 직접 단속하게 하였다. 3개 읍의 권농(勸農)하는 정사에 대해 별도로 더 엄하게 신칙하게 하고, 이어 대내에서 내린 돈으로 호남에서 올해 바쳐야 할 상부(常賦)와 응공(應貢) 중에서 형편에 따라 제해 두었다가 곡물로 바꾸어 보내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0년 (1796) 102
2998 고문헌 전라 감사 서정수(徐鼎修)와 제주 목사(濟州牧使) 유사모(柳師模)가, 별도로 내린 진휼 물자가 무사히 도착하였으며 섬 안 3개 읍의 모맥(牟麥 보리) 농사가 풍년이 들었다고 급히 장계한 데 대해, 유사모는 민정(民情)을 더욱 잘 살펴 다시 나에게 보고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0년 (1796) 103
2997 고문헌 성정각(誠正閣)에서 약원 제조 심이지(沈頤之)와 부제조 이면응(李冕膺)을 소견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0년 (1796) 106
2996 고문헌 바다를 표류한 탐라(耽羅) 사람인 전 충장장(忠壯將) 이방익(李邦翼)을 걸맞은 관직에 조용(調用)하라고 명하고, 이어 전라 감영의 중군과 자리를 바꾸어 주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1년 (1797) 101
2995 고문헌 평안도 관찰사는 현충사(顯忠祠)에 나아가 ‘만상의 의사 백대호 등 21인〔灣上義士白大豪等二十一人〕’이라고 위패(位牌)에 쓰고 봄과 가을에 제사를 지낼 때 돼지와 한 말의 술을 쓰는 것을 정식으로 삼으며 황명(皇明)의 유민(遺民) 임인관(林寅觀) 등 95인에 대해 모두 위패를 만들어 함께 제사를 지내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2년 (1798) 81
2994 고문헌 성정각에서 승지 홍국영을 소견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원년 (1777) 87
2993 고문헌 성정각에서 대사성 유당(柳戇)을 소견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년 (1778) 98
2992 고문헌 성정각(誠正閣)에서 대신 및 비변사 당상과 윤대관(輪對官)을 소견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0년 (1786) 81
2991 고문헌 성정각(誠正閣)에서 대신과 비변사 당상 및 봉조하 조돈(趙暾)을 소견(召見)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3년 (1789) 87
2990 고문헌 선전관 양협(梁埉)ㆍ심유조(沈有祖)ㆍ이인달(李仁達)은 병조 판서로 하여금 교관(郊館)에서 개좌(開坐)하여 크게 위의(威儀)를 베풀고 곤(棍) 30도(度)를 엄하게 쳐서 섬에 충군(充軍)하게 하고, 이동선(李東善)ㆍ이주봉(李周鳳)ㆍ김준악(金峻岳)ㆍ유상두(柳相斗)ㆍ허빈(許彬)ㆍ김진정(金鎭鼎)ㆍ원영린(元永麟)ㆍ전우성(田遇聖)은 모두 엄하게 곤을 쳐 태거(汰去)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7년 (1793) 94
2989 고문헌 상께서 야주개(夜晝峴)에 나아가셨는데, 내가 뒤따라 나아가서 대내(大內)로 돌아가실 것을 청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영조45년 (1769) 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