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88 |
고문헌 |
경외(京外)의 전최(殿最)를 개탁(開坼)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2년 (1778) |
102 |
2987 |
고문헌 |
정의 현감(旌義縣監) 김좌천(金佐天)을 개차(改差)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3년 (1779) |
107 |
2986 |
고문헌 |
성정각(誠正閣)에서 차대(次對)를 행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5년 (1781) |
102 |
2985 |
고문헌 |
제도(諸道)의 전최(殿最)를 개탁(開坼)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6년 (1782) |
98 |
2984 |
고문헌 |
성정각(誠正閣)에서 대신 및 비변사 당상과 윤대관(輪對官)을 소견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10년 (1786) |
100 |
2983 |
고문헌 |
성정각(誠正閣)에서 대신(大臣)과 비변사 당상을 소견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12년 (1788) |
117 |
2982 |
고문헌 |
성정각(誠正閣)에서 시원임 대신(時原任大臣), 각신(閣臣) 및 윤대관(輪對官)을 소견(召見)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13년 (1789) |
125 |
2981 |
고문헌 |
성정각(誠正閣)에서 함양군 사정 어사(咸陽郡査正御史) 최현중(崔顯重)과 하직하는 수령을 소견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14년 (1790) |
113 |
2980 |
고문헌 |
양사의 관원을 패초(牌招)하여 새로 제수한 수령을 서경(署經)하게 하라고 명하고, 곧이어 사간원의 서경을 제해 주라고 명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17년 (1793) |
121 |
2979 |
고문헌 |
정의 현감(旌義縣監) 고한록(高漢祿)은 하직 인사와 서경(署經)을 제해 주고, 장릉 영(章陵令) 송계상(宋繼相)은 개차하지 말라고 명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17년 (1793) |
118 |
2978 |
고문헌 |
전라 감사 이서구(李書九)가 제주(濟州) 대정현(大靜縣)에서 이전(移轉)해 오는 양태(凉臺 갓양태)와 감곽(甘藿 미역)을 실은 배 1척이 치패한 데 대해 급히 장계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17년 (1793) |
112 |
2977 |
고문헌 |
성정각(誠正閣)에서 대신(大臣), 각신(閣臣), 약원 제조 및 비변사 유사 당상, 제주 어사(濟州御史), 정의 현감(旌義縣監)을 소견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17년 (1793) |
9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