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37 |
고문헌 |
숙종 1년 6월 23일 경진 / 패륜적인 행위를 한 申必相의 체포와 사채 문제로 尹善道의 가동에게 형장을 가한 安緝의 삭거사판을 청하는 司憲府의 계
|
승정원일기 |
국사편찬위원회 |
숙종 1년 (1675) |
80 |
1136 |
고문헌 |
숙종 2년 12월 8일 병진 / 大靜縣監에 제수된 許榟에게 병이 있는 老父가 있으니 개차하기를 청하는 吏曹의 계
|
승정원일기 |
국사편찬위원회 |
숙종 2년 (1676) |
73 |
1135 |
고문헌 |
숙종 23년 4월 13일 임술 / 引見에 柳尙運 등이 입시하여 서리의 災異, 盜賊 討捕, 東萊 公作米, 科場事目의 개정, 文殊山城의 군사와 군량 조달 등에 대해 논의함
|
승정원일기 |
국사편찬위원회 |
숙종 23년 (1697) |
74 |
1134 |
고문헌 |
숙종 34년 2월 26일 계묘 / 濟州 靑橘의 수효가 부족하므로 宗廟 등에 각각 11개씩 薦進하겠다는 禮曹의 계
|
승정원일기 |
국사편찬위원회 |
숙종 34년 (1708) |
68 |
1133 |
고문헌 |
숙종 42년 5월 6일 을축 / 부패한 引鰒을 捧上한 濟州牧 해당 封進官의 推考 등을 청하는 司饔院의 계
|
승정원일기 |
국사편찬위원회 |
숙종 42년 (1716) |
71 |
1132 |
고문헌 |
숙종 43년 7월 27일 기묘 / 부패한 烏賊魚를 進上한 濟州牧 陪持人의 囚禁科罪를 청하는 司饔院의 계
|
승정원일기 |
국사편찬위원회 |
숙종 43년 (1717) |
85 |
1131 |
고문헌 |
경종 1년 윤6월 16일 을해 / 濟州에서 바친 灰全鰒이 시일이 오래되어 부패하였으므로 義盈庫의 例대로 오래된 灰鰒을 蕩減하고 臺庫月令도 革罷할 것을 청하는 司宰監의 계
|
승정원일기 |
국사편찬위원회 |
경종 1년 (1721) |
75 |
1130 |
고문헌 |
경종 2년 3월 3일 무자 / 濟州에서 薦新한 靑橘 가운데 부패한 것이 있으므로 해당 관리를 推考하기를 청하는 魂殿 入番宗室의 계
|
승정원일기 |
국사편찬위원회 |
경종 2년 (1722) |
72 |
1129 |
고문헌 |
경종 2년 3월 3일 무자 / 부패한 靑橘을 진상한 鄭思孝의 推考를 청하는 奉常寺의 계
|
승정원일기 |
국사편찬위원회 |
경종 2년 (1722) |
67 |
1128 |
고문헌 |
경종 3년 3월 4일 계미 / 濟州에서 薦新한 靑橘 중에 부패된 것이 있었으므로 推移하여 薦進하게 하고 封進官인 崔烷은 推考할 것을 청하는 奉常寺의 계
|
승정원일기 |
국사편찬위원회 |
경종 3년 (1723) |
84 |
1127 |
고문헌 |
고종 1년 2월 9일 경신[경진]
|
승정원일기 |
국사편찬위원회 |
고종 1년 (1864) |
39 |
1126 |
고문헌 |
고종 2년 12월 10일 신축
|
승정원일기 |
국사편찬위원회 |
고종 2년 (1865) |
3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