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옥 심방 본풀이 - 천지왕본풀이(전사)
문학 > 구비문학
❍ 초감제의 <배포도업침>과 <천지왕본풀이>의 중요화소는 천지개벽, 수명장자 징치, 천지왕과 지상국 여인의 결연, 부친 찾기, 해와 달의 조정, 인세차지 경쟁임.
- <천지왕본풀이>에서는 화살로 두 해와 달을 쏘아서 하나가 되게 하는 ‘해와 달의 조정’ 모티프, 이승과 저승 차지를 위해서 꽃 가꾸기와 수수께기 맞추기 내기를 통한 형제간의 ‘인세차지 경쟁’에 대한 모티프가 상징성이 큼.
❍ 천지왕은 장차의 서열에 따라 이승은 대별왕, 저승은 소별왕으로 정했으나 꽃가꾸기 경쟁에서 소별왕의 꽃 바꾸는 부정적 행위로 세계의 질서가 무너져서 무질서한 세계가 됨.
- 온 세상에는 온갖 짐승과 식물이 사람처럼 종종대며 말을 하고, 죽은 사람인 귀신과 살아있는 생인이 혼합될 때 이승과 저승으로 구분해서 각기 갈 곳을 알려줘 이승과 저승법을 마련함.
❍ 인간의 선악은 형제가 서로 간의 약속을 어기면서 생겨나 세상의 무질서가 예견되었음을 말하고 있는데 현용준은 <천지왕본풀이> 분석을 통해 쌍분적 세계구조를 발견함.
- 문학적인 구조에서도 ‘천(天)/남(男)/저승/형(兄)/선(善)/질서(秩序)’와 ‘지(地)/여(女)/이승/제(弟)/악(惡)/무질서(無秩序)’로 되어 있음.
- “먼저 남녀라는 이성의 결합에서 사회질서를 확립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형제라는 동성동혈을 통해 이를 극복하고자 했지만 결국 인간적인 욕망 때문에 다시 실패한다는 것으로 인문질서의 혼란은 운명적인 모순임을 시인하는 것”으로 해석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