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아문화재 활용프로그램 개발
사회과학 > 문화
목차
제1장 연구 개요 7
1. 관아 활용의 초석 마련 : 관아만의 특색을 보여주는 콘텐츠 발굴 12
2. 지역문화의 대표공간인 관아 활용을 위한 프로그램 마련 12
3. 관아문화재의 활용방향 마련 13
제2장 관아문화재 현황 20
Ⅰ. 관아문화재의 이해 21
Ⅱ. 관아문화재의 현황 62
제3장 관아문화재 활용프로그램 전략 수립 101
Ⅰ. 관아문화재의 정책환경 진단 102
Ⅱ. 관아문화재의 활용전략 112
Ⅲ. 관아문화재의 활용모델 개발 118
Ⅳ. 관아문화재의 활용 추진계획 및 소요예산 152
제4장 결론 180
Ⅰ. 결론 181
Ⅱ. 관아문화재 활용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제언 183
[부록] 관아 현황 실태 조사 186
Ⅰ. 관아문화재 지정현황 187
Ⅱ. 개별 관아문화재 실태조사 192
Ⅲ. 현장 점검 및 자문회의 사진 313
Ⅳ. 참고문헌 314
〈그림 2-12〉 탐라순력도 - 건포배은©국립제주박물관 37
〈그림 2-43〉 제주 여단 터 48
〈그림 2-49〉 제주목 관아 옆에 있는 동문시장에서 특산물을 판매하고 있는 모습 51
〈그림 3-20〉 제주목관아 망경루 앞에서 감귤 봉진하는 장면©탐라순력도 140
〈그림 3-21〉 제주목관아에서 제주마 봉진하는 장면©탐라순력도 140
〈그림 3-24〉 공마봉진 재현©제주시민복지타운 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