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생태보존을 위한 마을어장 모델에 관한 연구: 제주특별자치도의 어촌계 사례를 중심으로
순수과학 > 해양
탐라문화 49호
본 연구는 제주특별자치도의 어촌계 사례를 중심으로 마을어장의 관리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해양생태보존을 위한 마을어장모델에 대한 제시할 수 있는 원리를 발굴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은 사례에 대한 과정의 이해를 바탕으로 한 논의의 전개가 필요하고, 이용주체, 이용체계, 이용규칙, 집합적 장치 등 상호 다양한 관계를 문헌과 면담 및 토론 등을 통하여 밝혀낼 수 있기 때문에 질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진행하는 것이 보다 적절하다고 판단하였다. 연구를 수행하면서 6개의 어촌계에 대하여 마을어장 관리규약을 상호 비교하였고, 어촌계를 방문하여 어촌계장과 면담을 실시하였다. 규약과 면담을 통하여 얻은 결론은 해양생태보존을 위한 마을어장모델은 다음의 원리가 있어야 함을 발견하였다. 첫째, 공존의 원리이다. 해양생태보존을 위한 마을어장모델은 이용자와 상호 공존할 때 가능하다. 둘째, 신뢰의 원리이다. 신뢰는 지속가능성의 원천이다. 셋째, 순응의 원리이다. 마을어장 관리는 규범과 규칙에 순응을 전제로 한다. 넷째, 나눔의 원리이다. 해양생태보존을 위해서는 서로 나누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