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정 애착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의도적 반추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제주지역을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
탐라문화 44호
본 연구의 목적은 불안정 애착이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의도적 반추와 사회적 지지가 매개효과를 갖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제주지역에 거주하는 대학생이상 일반 성인 가운데 외상 경험이 있고 외상에 대한 주관적 심각도가 평균치보다 높은 269명이다. 자료는 AMOS 20.0을 활용한 구조방정 모형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불안정 애착이 의도적 반추를 완전 매개로 외상 후 성장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불안정 애착이 사회적 지지를 완전 매개로 외상 후 성장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불안정 애착이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사회적 지지가 의도적 반추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불안정 애착이 사회적 지지를 매개로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이 불안정 애착이 의도적 반추를 매개로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력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