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학연구센터 <2025 제주어 교육발전특구 지원 사업 추진 실적 공유 및 토론회> 개최
- 2025-11-10
- 조회 72
제주어 교육의 체계 확립을 위한 첫걸음
제주학연구센터 <2025 제주어 교육발전특구 지원 사업 추진 실적 공유 및 토론회> 개최
□ 제주학연구센터(센터장 김완병)는 오는 11월 7일(금) 오후 2시, 메종 글래드 제주 2층 아메티스트홀에서 ‘2025 제주어 교육발전특구 지원 사업의 추진 실적 공유 및 토론회’를 개최한다.
□ 이번 행사는 제주학연구센터가 추진 중인 <제주어 교육 전문강사 육성>, <제주어 교육과정 및 교재 개발>의 1차년도 성과를 공유하고, 제주어 교육의 발전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 행사에서는 총 4개의 주제 발표와 종합 토론이 진행될 예정이다.
□ 첫 번째로 제주학연구센터 김미진 전문연구위원이 <제주어 교육 전문강사 육성> 사업의 성과를 소개한다. 제주어 강사의 전문성과 체계성을 확립하고자 진행한 이 사업의 주요 내용은 △제주어 교육 현장 진단 및 요구도 분석을 위한 설문조사와 심층 면접, △국내외 강사 양성 사례 조사 결과, △제주어 전문강사 자격 제도(인증제) 도입을 위한 체계 구축, △제주어 교육 전문 강사 육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및 제주어 교육 플랫폼 프로그램 개발 등이다.
□ 두 번째는 제주학연구센터 권미소 전문연구원이 <제주어 교육과정 및 교재 개발>의 1차년도 사업 설명과 추진 성과를 발표한다. 지난 7개월간 △제주어 교육의 요구도 분석, △교육기관 및 단체의 현황 조사, △제주어 교육자료 31종과 제주어 구술 자료 말뭉치 분석을 통해 교육용 제주어 기초어휘를 선정한 과정과 제주어 교육과정의 개발 방향에 대해 공유한다.
□ 세 번째는 제주대학교 국어교육과 허원영 강사가 <제주어 교육과정 설계(안)>을 주제로 한 발표로, ‘제주어 보존과 계승’ 및 ‘의사소통 능력 함양’을 핵심 목표로 한 3단계(Level 1~3) 교육 체계를 제안하며, 각 단계의 총괄 목표와 교육 대상, 교육 시간 설정 근거를 설명한다.
□ 마지막으로 제주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신우봉 교수는 <교육용 제주어 기초어휘 선정 절차·기준·내용>에 대해 소개한다. 제주어의 의사소통 능력을 높이고, 제주문화 이해를 촉진하기 위한 교육용 제주어 어휘 선정 과정, 고유성ㆍ정체성, 균형성, 교육 효율성 등을 고려한 어휘 선정 기준, 어휘 목록의 체계화 방법 등에 대해 설명한다.
□ 종합 토론에서는 (사)제주어보전회 정예실 이사장,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민주시민문화교육과 고혁건 장학사, 제주대학교 국어교육과 송현정 교수, 동아대학교 교양대학 백재파 교수, 귀일중학교 윤지환 교사, 동광초등학교 강원미 교사 등 제주어 교육 현장 전문가, 교육 관련 연구자들이 참여해 ‘제주어 교육의 체계적 확립을 위한 방안’을 주제로 논의를 이어갈 예정이다.
□ 제주학연구센터 김완병 센터장은 “이번 추진 실적 공유 및 토론회를 통해 교육발전특구 지원 사업의 1차년도 성과를 종합적으로 공유하고, 전문가들과 함께 제주어 교육의 미래를 설계하는 중요한 자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문의: 제주학연구센터(064-900-1828~1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