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센터사업

제주학연구센터는 제주의 과거와 현재와 미래를 지속적으로 기록합니다.

<‘1948~1979년 제주학 연재 기사 연구’결과 발표 세미나> 개최

  • 2025-10-28
  • 조회 38
첨부파일
보도자료_1948~1979 제주학 연재 연구 결과 발표 세미나.hwp 신문연구세미나 개최 웹자보.jpg

제주학 초기 공론장제주 지역 신문가치 재규명

<‘1948~1979년 제주학 연재 기사 연구결과 발표 세미나> 개최

제주연구원 제주학연구센터(센터장 김완병)<‘1948~1979년 제주학 연재 기사 연구결과 발표 세미나>1030() 오후 330분부터 제주연구원 2층 새별오름에서 개최한다.

 

제주학연구센터 오유정 전문연구위원과 이정원 위촉연구위원은 지난 4월부터 10월까지 약 7개월 동안 제주학-언론학 융복합 연구인 ‘1948~1979년 제주지역 신문에 수록된 제주학 연재 기사 조사 연구를 진행했다. 최종 보고서가 10월 말 발간되는 가운데 센터는 연구 결과를 공유하고 후속 연구 및 정책 등을 모색하기 위해 세미나를 마련했다.

 

연구진은 제주학의 계보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기 위해 해방 이후인 1948년부터 <제주도연구회>(현 제주학회, 창립 1978) 창립 당시인 1979년까지 발간된 제주 지역 신문에 수록된 제주학 연재 기사들을 수집, 연구했다. 구체적으로 도내에서는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제주도서관이 유일하게 보관하고 있는 <제주신보> <제주신문>(현 제주일보) 기사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최종 보고서에서 연구진은 제주학 공론장 및 연구 사료로서 지역 신문의 가치를 새롭게 규명하고 있다. 옛 제주 지역 신문들을 체계적으로 활용, 계승하고 제주학 융복합 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한 기반으로써 제주학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의 당위성을 강조하고 있다. 아울러 제주학 선구자들(김태능석주명박용후부종휴진성기현용준홍순만홍정표 등)의 집필 및 연구 성과들을 지금 시점에서 새롭게 평가하는 제주학 인물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있다.

 

세미나는 주제 발표와 종합 토론 등으로 진행된다.

주제 발표는 ‘1948~1979년 제주학 연재 기사 연구 결과요약 및 정책 제안(이정원 위촉연구위원) <보는 아카이브, 찾는 역사 대한민국 신문 아카이브>(이현주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정보기획과장)이 열린다.

 

종합 토론은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문화관광체육위원회 양영수 의원이 좌장을 맡은 가운데 최낙진 제주대학교 교수와 강문규 한라산생태문화연구소 이사(전 한라일보 논설실장), 이정효 제주대학교 도서관 학술정보운영실장, 임희숙 제주도서관 기획운영실장, 김승종 제주일보 논설실장의 토론이 진행된다.

 

제주학연구센터 김완병 센터장은 연구를 통해 지역 신문이 제주학의 초기 학문적 공론장으로 기능했음을 확인했다연구 성과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제주학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및 제주학 선구자 연구 등이 지속적으로 이어져야 하는데, 세미나에서 이에 대한 종합적인 지혜를 수렴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