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센터사업

제주학연구센터는 제주의 과거와 현재와 미래를 지속적으로 기록합니다.

제주학 시민 아키비스트 양성과정(기초, 심화) 개설

  • 2025-02-27
  • 조회 97
첨부파일
보도자료_제주학연구센터 시민 아키비스트 양성과정 개설_250224.hwp

“광복 80주년 기념, 제주학연구센터 상반기 도민강좌”

‘제주학 시민 아키비스트 심화과정 및 기초과정’ 수강생 모집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학연구센터(센터장 김완병)는 제주도민대학과 함께 ‘탐라 역사와 문화 기록의 주인’으로 나설 제주도민을 육성하는 ‘제주학 시민 아키비스트(기록자) 심화과정과 기초과정’ 강좌를 개설한다.

○ 특히 이번 강좌는 ‘광복 80주년’을 맞이해서 지역학을 기반으로 잊혀가는 광복의 의미를 되새기며 ‘오직 문화의 힘’을 길러나갈 수 있는 강좌로 준비되었다. 또한 ‘제주도민대학’과 연계하여 수강생을 모집하고 관리해 나갈 예정이며, 타강좌 포함 도민대학 강좌 100학점 이상 이수 시 도민대학 명예학사가 수여된다.

○ 먼저 ‘제주학 시민 아키비스트 심화과정’은 2024년 기초과정 수료자를 중심으로 참여하는 전문인력 양성과정으로서, 수강생 각자가 자신의 기록 주제를 정하고 수강 기간 동안 조사와 정리, 원고 집필 등을 통해 마지막 강의 때 성과물을 발표하는 워크숍 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 심화과정의 세부 주제와 강사진은 다음과 같다.

회차

날짜

강의 내용

강사

1

3. 20. (목)

제주학 아카이브 구축의 실제와

기록 주제 선정

조정현

제주학연구센터 전문연구위원

2

3. 27. (목)

제주 역사와 삶에 대한 기록의

수집, 번역과 활용 방안

김새미오

제주대학교 학술연구교수

3

4. 3. (목)

해양 제주의 특성과 섬 문화

기록화 방안

김나영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 학예연구사

4

4. 10. (목)

지역사 관점에서 영상 기록과 활용

박정근

사진작가

5

4. 17. (목)

제주의 목축문화와 공유자원 활용

강만익

탐라문화연구원 특별연구원

6

4. 24. (목)

제주어 구술채록을 활용한 기록의 가치와 실행 방법

김보향

제주대학교 학술연구교수

7

4. 26. (토)

오전 9시

현장 실습

현장 강의 및 답사

8

5. 1. (목)

시민 아키비스트 주제 발표 및 토론

/ 수료식

김완병 제주학연구센터장

현혜림 센터 전문연구원

○ 심화과정 강좌는 3월 20일부터 5월 1일까지 매주 목요일 오후 7~10시(총 8회, 현장 실습은 4월 26일 토요일) 제주학연구센터 강의실 ‘마레’에서 열린다. 심과과정 신청자격은 2024년 제주학 시민 아키비스트 기초과정 수료자와 제주학 관련(전공 불문) 석사학위 이상(또는 관련 경력 3년 이상) 소지자이다.

 

○ 다음으로, 도민 누구나 수강할 수 있는 ‘제5기 제주학 시민 아키비스트 기초과정’은 새롭게 지역학 기록자 과정에 입문할 도민을 양성하기 위해 마련되었으며, 강좌의 주제와 강사진은 다음과 같다.

회차

날짜

강의 내용

강사

1

5. 27.(화)

광복 80주년, 지역 공동체의 역사ㆍ문화 기록화와 아카이브 구축

김재순

(전 국가기록원 나라기록관장)

2

5. 29.(목)

자연과 생태로 본 제주의 특성과 지속가능성

김완병

(제주학연구센터장)

3

6. 3.(화)

마을 문서 발굴ㆍ번역ㆍ아카이브 구축을 통한 제주역사 다시 읽고 쓰기

홍기표

(제주역사문화진훙원장)

4

6. 10.(화)

제주사회 문화변동의 흐름과

생활사 기록화 방법

고광민

(제주섬문화연구소 선임연구원)

5

6. 12.(목)

문학예술로 기록하는 제주의 역사와 제주인의 삶

김동현

(제주민예총 이사장)

6

6. 17.(화)

사진으로 기록하는 제주의 역사와 문화

강정효

(사진작가)

7

6. 19.(목)

영상으로 기록하고 소통하는 제주인의 삶

안현미

(스토리AHN 대표)

8

6. 21.(토)

14시~18시

현장 답사

현장 강사

9

6. 24.(화)

제주어 구술채록으로 제주인의 삶 기록하기

김미진

(제주학연구센터 전문연구위원)

10

6. 26.(목)

기록 아이템 선정과 디지털 기반

현장 기록화 방법 / 수료식

조정현

(제주학연구센터 전문연구위원)

 

○ 기초과정 강좌는 5월 27일부터 6월 26일까지 매주 화․목요일 오후 7~9시(총 10회, 현장 답사는 6월 21일) 제주학연구센터 강의실 ‘마레’에서 열린다.

○ 이번 강좌 개설과 관련하여 제주학연구센터 김완병 센터장은 “이번 상반기 시민 기록자 양성 강좌는 도민과 함께 만들어가는 제주학을 실현해 나가는 도민친화 사업으로, 특히 지난해부터 제주도민대학과 함께 운영하는 만큼, 더욱 많은 도민과 함께 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하였다.

○ 수강 신청과 상세 내용은 제주도민대학(http://www.jejudomin.kr) 및 제주학연구센터 누리집(http://www.jst.re.kr)을 참조하고, 3월 4일까지 선착순으로 접수한다. 기타 사항은 전화 064-726-9871(제주도민대학), 064-900-1817(제주학연구센터)로 문의하면 된다.